2025년 배우자 상속세 폐지 - 언제부터 시작일? 바뀌는점 총정리
본문 바로가기
돈이되는 경제정보

2025년 배우자 상속세 폐지 - 언제부터 시작일? 바뀌는점 총정리

by N잡러 쭈니 2025. 3. 11.
반응형

배우자 상속세 폐지 세법 개정 정리

 

1. 배우자 상속세 폐지 시행 시기

  • 시행 시기: 2025년 하반기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.
  • 예상 일정:
    • 2025년 상반기: 국회 법안 심의 및 통과
    • 2025년 하반기: 법 시행 및 적용
  • 즉, 2025년 이후에는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더라도 상속세를 부담하지 않게 됩니다.

2. 기존과 무엇이 달라질까?

  • 기존 제도 (2024년까지):
    • 배우자가 상속받을 경우, 기본공제 5억 원과 배우자 공제 5억 원을 합쳐 10억 원까지 상속세가 면제됩니다.
    • 상속재산이 10억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최대 50%의 상속세가 부과됩니다.
    • 다른 상속인(자녀 등)과 함께 상속받으면 공제금액이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.
  • 변경 후 제도 (2025년 이후):
    • 배우자는 상속세 전액이 면제됩니다. 상속 재산의 금액에 관계없이 세금 부담이 없어진다.
    • 자녀에게 상속할 경우, 기존처럼 상속세가 부과됩니다.
    • 부부 간 재산 이전 시 상속세 부담이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.

3. 배우자 상속세 폐지가 미치는 영향

  • 예상되는 변화:
    1. 이중과세 논란 해소: 기존에는 부부 사망 시 상속세를 두 번 내야 했지만, 이제 한 번만 내면 됩니다.
    2. 부동산 및 자산 유지 용이: 배우자가 상속 받은 재산을 처분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자산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.
    3. 상속세 절세 전략 변화: 부부 공동명의에서 단독 명의로 이전하는 경우가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.
  • 우려되는 점:
    • 부자 감세 논란: 고액 자산가가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세수 감소: 상속세 수입이 줄어들어 대체 재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4. 배우자 상속세 폐지,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?

  • 부동산 및 금융자산 정리:
    배우자가 상속세 부담 없이 재산을 승계할 수 있기 때문에, 기존 공동명의의 부동산을 단독 명의로 변경하는 일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
  • 자녀에게 증여할 계획이 있다면?
    배우자가 모든 재산을 상속받은 후 자녀에게 증여할 때 증여세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.
  • 상속 계획 재검토:
    세법 개정에 맞춰 상속 및 증여 계획을 새롭게 검토하고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결론

  • 시행 시기: 2025년 하반기부터 배우자 상속세가 완전히 폐지됩니다.
  • 변경 사항: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을 때 세금 부담이 사라지며, 상속세 절세 전략에 변화가 필요합니다.
  • 우려점: 부자 감세 논란과 세수 감소 문제가 있으며, 향후 국회 논의가 필요합니다.

이 개정이 여러분의 자산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대비하고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 
 
반응형